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에서 떨어져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이를 꾸준히 섭취할 경우 암, 불임 등 치명적인 질병 위험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콩코디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위험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을 통해 생수병 속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 전반에 심대한 피해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기존 논문 141편을 분석한 결과, 인체는 매년 평균 3만 9000~5만 2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물 섭취량을 모두 생수로 충당하는 사람은 수돗물만 마시는 사람보다 연간 약 9만 개나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을 삼킨다.
수돗물만 마시는 경우 연간 약 4000개 수준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한다. 하지만 생수병을 통해 물을 마시면 그 수치가 9만 4000개까지 치솟는다. 같은 물을 마셔도 플라스틱 섭취량이 20배 이상 급증하는 셈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에서 5㎜ 사이인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이보다 작은 나노 플라스틱도 존재한다. 크기가 극도로 작아 장벽을 쉽게 뚫고 체내 깊숙이 스며들기 때문에 더 치명적이다.
해당 입자들은 우리가 마시는 물뿐만 아니라 음식과 호흡을 통해서도 몸 안으로 들어온다. 장기 곳곳에 쌓여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또 플라스틱에 포함된 프탈레이트 같은 화학 첨가물은 호르몬 시스템을 붕괴시켜 생식 능력을 떨어뜨리고 불임 위험을 키운다. 뇌에까지 침투해 신경 독성을 일으켜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에 축적될 경우 염색체 이상과 암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
연구팀은 '나노·미세 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그 전모는 다 밝혀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규제 공백 상태를 방치할 경우 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기는 훨씬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생수병에 미세·나노 플라스틱 존재 여부와 잠재적 건강 영향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대한 생산자책임확대(EPR)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를 통해 '일회용 생수병 속 미세·나노 플라스틱은 인간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수준'이라며 '현재 규제와 관리 체계의 공백은 즉각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