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지도사

  • 로그인
  • 회원가입

자유게시판

제목 헬스리터러시, 운동·영양 만큼 장수에 기여한다
작성자 이연서 등록일 2025-10-17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조회수 5

“건강 정보를 충분히 알고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람이 건강하게 오래 산다.”

너무나도 당연한 것 같지만, 잘 실천하지 못하는 말이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대규모 연구들은 이 단순한 말이 노년의 건강과 장수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특히 노쇠 예방에 있어 헬스리터러시(건강정보이해능력)가 운동이나 영양 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보 접근성과 이해력 향상이 건강한 장수의 새로운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국립 장수 의료 연구 센터’(이사장: 아라이 히데노리)는 최근 일본 전국의 75살 이상 고령자 1,032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노쇠’로 판정된 고령자의 헬스리터러시 점수는 27점으로, 노쇠가 아닌 사람의 31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노쇠는 노화와 다르다.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신체 기능 저하 과정인 반면, 노쇠는 이러한 노화가 심해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전신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다.

센터의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점은 노쇠 상태인 고령자가 특히 어려움을 겪는 세 가지 건강정보 영역이 명확히 드러났다는 것이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노쇠 상태인 고령자는 노쇠가 아닌 사람에 비해 △병에 걸렸을 때 상담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 정보 입수가 1.42배 더 어렵고, △받아야 할 예방접종이나 검진 정보 입수가 1.89배 더 어려우며, △운동이나 건강식품, 영양 등 건강한 생활을 위한 정보 입수가 1.77배 더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노쇠 예방에는 운동으로 체력을 유지하거나 영양 섭취가 중요하지만, 정보 접근성이 실제 행동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인터넷, 지역 보건센터, 의료기관, 가족 및 친구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건강 정보를 얻는 사람일수록 프레일 위험이 낮았다”고 설명했다.(https://www.ncgg.go.jp/ri/report/20250916.html 참조)

일본은 명실상부한 장수 왕국이다. 2025년 9월1일 기준, 일본의 100살 이상 고령자는 9만 9,763명으로 55년 연속 증가 기록을 세웠다. 이 중 여성이 8만 7,784명(약 88%)을 차지한다. 놀라운 것은 1963년 조사 시작 당시 100세 이상은 전국 단 153명이었으나, 62년 만에 약 652배 증가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장수가 곧 건강한 삶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본의 평균 수명은 남성 81.25세, 여성 87.32세지만, 건강수명은 남성 71.19세, 여성 74.21세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은 약 10년, 여성은 13년을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보낸다는 의미다. 이러한 간극을 좁히는 것이 초고령사회 일본의 가장 큰 과제로 떠올랐다. 그 과제 중 하나가 노쇠 상태의 노인을 줄이는 것이다.

일본의 노쇠 유병률은 65살 이상에서 7.4%지만, 75~79살에서는 10.0%, 80~84살에서는 20.4%, 85살 이상에서는 35.1%로 급증한다. 이는 노쇠가 단순히 나이 듦의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니라,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건강 문제임을 시사한다.

최근 연구들은 노쇠를 막는 강한 힘 중 하나가 바로 헬스리터러시에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헬스리터러시를 “개인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는 방식으로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개인적 지식과 역량”이라고 정의한다. 단순히 건강정보를 많이 찾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까지 가야 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고령사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쇠와 헬스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요 연구 사례들은 헬스리터러시가 노쇠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일본 마츠모토시 노쇠 예방 프로젝트(2025) 연구에서는 65살 이상 노인 373명을 1년간 추적했는데, 높은 의사소통적·비판적 헬스리터러시를 가진 노인은 일상생활 도구적 활동(IADL)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노쇠 진행 위험이 45.4% 감소했다.

일본 가시와시 지역사회 노인들에 대한 4년 추적 연구(2021)는 621명을 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종합적 헬스리터러시가 높은 노인이 낮은 헬스리터러시를 가진 노인보다 2년 후 노쇠 발생 위험이 46%나 낮았다.

헬스리터러시와 노쇠 예방에 대한 상관관계는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

헬스리터러시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다양하다. 헬스리터러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자기효능감은 다시 자기관리 행동과 건강증진행위로 이어진다. 또한 헬스리터러시는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켜, 환자가 진료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치료 계획을 적극적으로 따르게 만든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서는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그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이다.
 

다음글 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견적사이트
이전글 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견적사이트